pISSN: 1229-0750

대동철학 (2024)
pp.111~139

DOI : 10.20539/deadong.2024.107.005

『대념처경(Mahāsatipaṭṭhānasutta)』에 나타나는 심념처(cittānupassnā)에 대한 고찰

이은정

(경북대학교 철학과 강사 )

본 고는 『대념처경』의 심념처에 나타나는 16가지 마음들과 이 마음을 ‘안으로 밖으로’ 관찰하는 것에 대해 고찰하였다. 니까야에서 마음은 인식과정에서 발생하는 생각의 측면 과 탐욕, 성냄, 어리석음 등이 관련된 정서적인 측면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후 주석서 문 헌에서도 생각과 정서의 측면으로 나뉘어져 체계화된 것으로 보인다. 생각의 측면에서는 인식 과정과 체계가 설명된 14가지 마음역할과 마음 전개이론으로, 정서의 측면에서는 89/121가지 마음분류와 52가지 마음요소로 이해될 수 있다. 생각의 측면과 정서의 측면 은 서로 유기적인 관계성 속에서 나타난다. 심념처의 전반부에 나타나는 16가지 마음은 크게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는데, 일반적인 정서와 관련된 마음들과 수행의 정도에 따라 나눠진 마음들이다. 이러한 마음은 『청정도론』에 나타나는 89가지 마음분류에 적용될 수 있다. 『청정도론』에서는 종류에 따라 유익 한 것, 해로운 것, [유익함과 해로움으로] 결정할 수 없는 것으로 구분된다. 더불어 마음이 활동하는 영역에 따라 욕계, 색계, 무색계, 출세간으로 나눠진다. 후반부에는 수행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제시된 ‘안으로 밖으로’ 마음을 관찰하는 것은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필자는 니까야에서 인식과정에 대해 설해진 것으로 알려진, ‘여섯 장소’를 첫 번째 지분으로 하는 8지 연기설을 토대로 적용하였다. 이후 주석문헌에 서는 여섯 장소가 두 개의 문으로 분류되어 인식과정이 체계화된다. 즉, 눈·귀·코·혀·몸의 감각기능에 의해 일어나는 오문에 의한 마음전개는 ‘밖으로’에, 마노에 의해 일어나 는 의문에 의한 마음전개는 ‘안으로’에 적용될 수 있다.

A Consideration on the Cittānupassnā in Mahāsatipaṭṭhānasutta

Lee, Eun-Jung

This thesis discussed the 16 minds that appear in the Mahāsatipaṭṭhānasutta and how to observe them 'inward and outward'. In Nikāya, the mind can be divided into the thought aspect, which arises from the cognitive process and the emotional aspect, which involves greed, anger, and stupidity, etc. It seems to have been systematized in later commentary literature as well, divided into aspects of thought and emotion. In terms of thought, it can be understood as 14 mind roles and mind unfolding theories that describe cognitive processes and systems, and in terms of emotion, it can be understood as 89/121 mind classifications and 52 mind elements. The thought aspect and the emotional aspect emerge in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e 16 minds that appear in the first half of the ‘cittānupassnā’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those related to general emotions, and those divided by level of practice. These minds can be applied to the 89 categories of minds that appear in Visuddhimaggga. According to Visuddhimaggga, it is classified into kusala, akusala, abyākata depending on the type.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area in which the mind is active, it is divided into kāmāvacara, rūpāvacara, arūpāvacara, lokuttar. In the second half, observing the mind "inward and outward" presented as a specific method for practice, is open to various interpretations. I have adapted the Saḷāyatana theory, as described in the Nikāya for the cognitive process. In later commentaries, the six places(saḷāyatana) are categorized and organized into two doors. The vīthicitta of the pañcadvārāni of eye, ear, nose, tongue, and body can be applied to 'outward'. The vīthicitta of the manodvāra of mano can be applied to 'inward'.

Download PDF list




 
[42411] 대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 219 인문사회관 윤리교육과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10-9778-3058 (남재민, 총무간사)      FAX 053-620-1300      ddpa2@ddpa98.org
Copyright ⓒ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