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229-0750
대동철학 (2002)
pp.71~99
『중론』과 가상현실의 형이상학
이 글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의한 가상현실의 출현으로 말미암아 일어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존재론적 탐구를 시도한다. 가상현실의 출현이 가져다 줄 수 있는 해체론이나 구성주의를 실재론적 관점에서 비판할 것이다. 중론은 자성을 비판하지만 동시에 이제설을 통해서 해체론적이거나 허무주의 역시 비판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중론의 연기의 상의성과 이제설을 통하여, 가상현실에 대한 적절한 존재론을 부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네트워크를 통해서 출현하는 가상현실과 실제 현실은 서로 의존적이기 때문에, 실제세계는 가상 현실을 통해서 자신을 배울 수 있고, 가상세계는 또한 실제세계에 토대해 있음을 깨달아 가상세계의 자유를 현실세계와 독립적으로 추구하기보다는 상호 연관성 속에서 추구해야 할 것을 주장한다. 그 때 가상 현실에서 발생되는 다중공동체는 인과적 통일성을 가지게 되어 다중인격, 자아분열 등과 같은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상현실은 욕망의 확장이기보다 생활세계의 창조적 확장이 될 수 있다.
Nāgārjuna's Mādhyamik-śāstra and Metaphysics of Virtual Reality
This Thesis is to attempt ontological investigation to overcome the problems raised by the apperance of virtual reality due to the progr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Deconstruction and constructive ontology which have been used to interpret virtual reality have been criticized in view of realism.
Mādhyamik-śāstra criticizes not only identity theory but also deconstruction and nihilism through the theory of ultimate truth and conventional truth. Therefore through the discussion of interdependence interpretation of causality and theory of ultimate and conventional truth, it is shown that Mādhyamika-śāstra can be alternative ontology for virtual reality. Because the virtual reality emerged by network and actual reality are interdependent, actual reality can learn its limit through virtual reality and virtual reality recognize that it should be based upon actual reality. So, it is claimed that the freedom of virtual reality should be pursued in the context of interdependence instead of being pursued independent of actual network. The multiple communinity created in virtual reality can have causal unity and overcome the problems of multiple personality and split personality. It is claimed that the virtual reality is the creative expansion of life world rather than the expansion of des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