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229-0750
대동철학 (2018)
pp.257~286
遲川 崔鳴吉의 『대학』관 - 주희의 『대학』 해석에 대한 반성의 한 양상
이 글은 지천 최명길의 『대학』에 관한 이해를 살펴본 것이다. 그의 『대학』관은 「대학기의」와 「대학관견」이라는 글에 잘 나타나 있다. 「대학기의」는 주희의 『대학장구』 체제와 그 의리 해석에 의문을 제기한 것이고, 「대학관견」은 『대학』에 대한 최명길의 독특한 견해를 밝힌 것이다. 여기에서는 이 두 자료를 주요 분석대상으로 삼아 그의 『대학』관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최명길의 『대학』관의 특징을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하나는 『대학』의 체제에 대한 이해이고, 다른 하나는 『대학』의 철학적 의미에 대한 이해이다. 최명길은 「고본대학」 체제를 수용하고, 주희의 『대학장구』 체제를 낱낱이 비판한다. 그리고 그 비판의 이유를 제시하여 자기의 주장을 정당화한다. 최명길이 「고본대학」 체제를 수용한다는 점에서 보면 왕수인과 별 차이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왕수인은 「고본대학」을 ‘定本’으로 본 반면에, 최명길은 「고본대학」에 결함이 많은 것으로 본다. 『대학』의 철학적 의미에 관한 부분은 ‘삼강령에 대한 이해’, ‘知止而后有定’장의 ‘安’과 ‘慮’에 대한 이해, ‘격물’에 대한 해석, ‘성의’ 공부에 대한 이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것들은 모두 최명길이 주희의 해석에 이의를 제기한 부분들이다. 최명길은 주희의 견해에 이의를 제기하고, 자기의 독창적인 주장을 제시하고, 그 근거를 밝히는 방식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이 논의를 통해서 최명길은 주체적이고 비판적인 태도로 『대학』을 연구함으로써 자기 나름대로의 체계적인 이해를 지니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조선의 학술 풍토에서 주자학의 권위에 도전하여 자신의 독창적인 견해를 제시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이점에서 최명길의 『대학』 연구 성과는 조선경학사에서 적지 않은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Jicheon Choi Myeonggil’s View on the Daxue - A Criticism of Zhu Xi’s Interpretation of the Daxue -
This paper examines Choi Myeonggil’s understanding of the Daxue, based on the “Daehakgieui” 大學記疑 and “Daehakgwangyeon” 大學管見 where Choi’s view on the Daxue is well expressed. In the “Daehakgieui” Choi questions Zhu Xi’s Daxuezhangju system as well as his interpretation of the Daxue. In addition, the “Daehakgwangyeon” conveys Choi’s unique view on the Daxue. With an aim to elucidate the particular aspects of Choi’s understanding of the Daxue, this paper analyzes these two texts focusing on two main subjects: the system of the Daxue and the philosophical discussions of the Daxue. Endorsing the system of the old text version of the Daxue, Choi Myeonggil criticizes Zhu Xi’s Daxuezhangju system and justifies his criticism by advancing reasoned arguments. Choi is in line with Wang Shouren in that he accepts the system of the old text version of the Daxue; however, Wang regards the old text version as the definitive edition whereas Choi considers that it is littered with flaws. Regarding the philosophical discussions of the Daxue, this paper examines four concepts formulated in the Daxue: sangangling 三綱領, zhizhi erhou youding 知止而后有定, gewu 格物, and chengyi 誠意. Choi raises objections to Zhu’s interpretation of these four concepts, and makes his own interpretation supported by logical evidence in challenging of Zhu’s.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Choi Myeonggil gained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Daxue in an independent and critical manner. At the time of Choi, it was virtually forbidden to present one’s original idea while defying Zhu Xi’s authority. Considering this oppressive academic atmosphere of the Joseon dynasty, Choi’s interpretation of the Daxue assumes profound significance in Korean history of thought of Confucian class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