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229-0750

대동철학 (2017)
pp.169~193

호러리즘과 임계적 공공성

김동규

(부산대학교 철학과 비정규교수.)

이 논문은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을 새롭게 확장하기 위한 예비작업이다. 이러한 확장을 위해 아드리아나 캬바레로의 호러리즘을 참고하여 ‘상처 받을 수 있음’(vulnerability)이라는 개념을 수용하였고, 이 논문에서 새로운 공공성과 그 중요성을 논의하는 데 핵심이 되었다. 이 개념은 인간의 보편적 존재조건을 규정하는 개념이지만, 근대적 주체의 완전함과 완전한 주체들의 대칭성을 정당화하는 개념은 아니다. 오히려 근대적 주체의 불완전함을 드러냄으로써 개별적인 주체들을 상처를 통해 서로 의존할 수 있는 주체로 만들었고, 이와 동시에 자신의 불완전함과 타자의 상처 받을 수 있음을 경험하는 가운데 슬픔과 애도를 지속해야 함을 강조함으로써, 소외된 존재들을 향한 폭력을 거부하고 중단시키는 개념이 되었다. 여기서 바로 새로운 공공성이 출현할 수 있다. 이처럼 박탈된 존재들의 귀환, 이들이 행하는 거부와 중단은 기존의 공공성에 임계를 선물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공공성을 임계적 공공성으로 개념화 했다. 임계적 공공성은 단순히 기존의 중심에 소외된 존재들을 단순히 기입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공공성을 완전히 재편함으로써 기존의 폭력을 중단시키려는 부단한 시도를 가능케 한다. 이를 통해 공론장의 대칭성이 비대칭성의 우선성을 근거로 탄생하며, 이 비대칭성이 기존의 공론장에 지속적인 활력을 주는 임계임을 정당화한다. 이 임계에 공적 장소에서 박탈된(privatized) 존재들이 새로운 공적 관계성을 요구하며 귀환하는 것이다.

Horrorism and critical publicness

Kim, Dong-Gyu

This paper is a preliminary work to newly expand Habermas' theory of public sphere. For this extension, we have found that the concept of 'vulnerability'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the new publicness by referring to Horrorism(by Adriana Cavarero). This concept of 'vulnerability' is a concept that defines human universal existence conditions, but it is not a concept that justifies the perfectness of the modern subject and the symmetry between perfect subjects. Rather, by exposing the imperfection of the modern subject, the individual subjects are subject to interdependence through their wounds, while at the same time emphasizing the need to continue melancholy and mourning as they experience their imperfections and hurt others. The concept of vulnerability comes to be the concept of rejection to violence toward the alienated beings. The rejection and discontinuation of these deprived beings present a criticality to existing publicness, so this essay conceptualized the phenomenon of this publicness as critical publicness. Critical publicness is not merely the entry of alienated beings into the existing center, but rather the complete restructuring of the existing publicness, thereby enabling a constant attempt to stop existing violence. Through this, the symmetry of the public sphere is born on the basis of the asymmetry priority, thus this asymmetry justifies that it gave a constant vigor to existing public sphere. In this criticality, privatized beings return to the new public sphere with a new relationship.

Download PDF list




 
[42411] 대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 219 인문사회관 윤리교육과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10-9778-3058 (남재민, 총무간사)      FAX 053-620-1300      ddpa2@ddpa98.org
Copyright ⓒ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