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229-0750

대동철학 (2017)
pp.239~261

불교의 언어, 불교상담의 언어문제

윤희조

(서울불교대학원대 불교학과 조교수)

초기불교에서 언어의 발생은 근경식(根境識) 삼사화합(三事和合)을 통해서 느낌(受), 관념(想), 사유(尋), 희론(戱)으로 나아가는 연기적 과정을 거친다. 유식불교에서 언어는 파악되는 사물(境), 사물의 형상(相), 형상을 지시하는 명칭(名), 이 세 가지를 통일하는 정신작용 즉 상(想), 식(識), 분별(分別)이라는 요소를 필요하다. 이렇게 만들어진 언어는 마음의 경향성을 표현하는 증폭하고 기능을 한다. 표현에는 명료화의 가능성과 왜곡의 가능성이 내재해 있다. 실재의 생멸성과 언어의 고정성의 균열로 인해서 유익한 언어와 유해한 언어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정어와 사어, 정구업과 사구업은 유익한 언어와 유해한 언어를 대표하고, 무쟁법과 유쟁법은 사회적 관계에서의 두 가지 언어의 기능을 대표한다. 유익과 유해는 목표를 염두에 둘 때 가능하다. 불교상담의 언어는 내담자의 괴로움의 제거라는 목표를 중심으로 언어를 사용하는 목표지향적 언어를 추구한다. 문자의 고정성으로 인해서 의미의 생멸성을 담을 수 없으므로 말의 한계를 아는 것 자체가 불교상담의 언어가 가질 수 있는 이점이다. 불교상담의 언어는 내담자의 근기에 맞게 차제적으로 활용되어야 하고, 언어와 침묵은 반대가 아니라 하나의 목표를 위한 서로 다른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언어의 고정성에 묶인 존재의 언어와 달리 실재의 생멸성을 보여주고자 하는 생성의 언어는 언어의 한계를 뛰어넘고자 하는 시도이다. 생성의 언어를 통해서 지월의 언어로 나아가고자 하는 것은 불교언어철학의 전제라고 할 수 있다. 금강경에서 즉비의 논리, 선불교의 불립문자의 논리는 이러한 전제를 보여주고 있다. 지월(指月)의 언어는 달을 가리키는 손의 역할을 하는 언어를 말한다. 실재 자체를 표현하지는 못하지만 실재를 가리키는 기능을 하는 언어를 말한다. 이러한 지월의 언어는 불교상담에서는 실재를 지향하는 언어를 사용할 것을 말한다. 언어가 실재 자체는 아니지만 실재를 지향하는 언어이고 마음을 지향하는 언어이다.

The Language of Buddhism, the Language of Buddhist Counseling

YOUN, Hee-Jo

In early Buddhism, the emergence of language comes from the feeling(vedanā), the idea(saññā), the thought(vitakka) and the proliferation of thought(papañca) through the process of depedent origination. In Yogacara Buddhism, language need to objects (artha, viṣaya, vastu, boundary), image of objects(nimitta, phase), names that designate shapes(nāma, name), cognition(vijñāna), and discrimination(vikalpa, sorting). The language thus created amplifies and functions to express the tendency of the mind. Expression has the possibility of clarification and possibility of distortion. There is a possibility of beneficial language and harmful language due to the unbalance of fluidity and rigidness the language. Right Language and Wrong Language represent the beneficial language and the harmful language, and quarreling language and non-quarreling language represent the functions of the two languages ​​in social relations. Benefit and harm are possible when you have a purpose in mind. The language in Buddhist counseling pursues a goal-oriented language that uses language centered on the goal of eliminating the suffering of the clients. Unlike the language of being tied to the rigidness of language, the language of becoming which seeks to show the fluidity of reality is an attempt to go beyond the limits of language. It is a premise of Buddhist language philosophy that it wants to advance to the language which refers to moon through the language of becoming. It refers to a language that does not express the reality itself, but functions to point to reality. Buddhist counseling refers to using a language that is oriented toward reality. Language is not a reality in itself, but it is a language oriented toward reality. Because of the rigidness of the characters, it is impossible to capture the fluidity of meaning. Therefore, knowing the limit of speech is an advantage that Buddhist counseling language can have. The language of Buddhist counseling should be utiliz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lient's ability, and language and silence are not the opposite, but a different methodology for one goal.

Download PDF list




 
[42411] 대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 219 인문사회관 윤리교육과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10-9778-3058 (남재민, 총무간사)      FAX 053-620-1300      ddpa2@ddpa98.org
Copyright ⓒ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