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229-0750

대동철학 (2020)
pp.41~78

DOI : 10.20539/deadong.2020.93.003

퇴계의 향약 분석을 통한 조선시대 자치조직 연구

김상현

(경북대학교 철학과 강사)

이 글은 우리 전통 내부에 존재했던 자치조직의 흔적을 찾아보고 그것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통해 우리사회에 적합한 자치조직의 모습을 그려보기 위한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이와 같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 우리는 조선향약의 기원을 열었다고 평가받는 퇴계의 향약 을 주목할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퇴계의 「향입약조」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향 촌자치조직의 규약인 향약의 모습이 어떠한지, 그리고 그 속에서 얻을 수 있는 가치가 무 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한국사회에 적합한 자치조직의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현재까지 퇴계의 「향입약조」가 향약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기 때문에, 먼저 퇴계의 「향입약조」를 향 약으로 볼 수 있는지를 규명해야 한다. 다음으로 그것을 향약으로 볼 수 있다고 한다면 조 선향약으로서 대표성을 지닐 수 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조선향약을 대표 할 만한 지위를 가진 것으로 볼 수 있다면 과연 그 속에서 긍정적인 요소를 발견할 수 있 는지, 그리고 그것이 바람직한 자치조직을 건설하는데 일조할 수 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연구는 먼저 향약 개념의 모호성이 어디에서 비롯 된 것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퇴계의 「향입약조」를 향약으로 보아도 무방하다는 점을 밝혔다. 다음으로 향약의 전형으로 평가받는, 그래서 조선사회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던 주자의 증손여씨향약 과 퇴계의 향약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 서 퇴계의 향약은 주자의 향약과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그러한 특징은 조선사회가 가진 독특한 역사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퇴계 향약이 조선향약의 기원을 열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는 점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조선향약의 기원을 열었다고 평가되는 퇴계 향약 에 담긴 가치를 규명함으로써 조선향약의 의의를 밝히고, 오늘날 바람직한 자치조직을 수 립하는데 일조할 수 있는 퇴계 향약의 긍정적 가치를 소개하였다.

A Study on the Local Autonomy Organization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Analysis of Toegye s Hyang-yak(鄕約)

Kim, Sang-Hyun

This thesis is intended to find traces of the local autonomy organization that existed inside our tradition, and to portray what forms of the local autonomy organization are desirable in our society by correctly evaluating i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will pay attention to Toegye s Hyang-yak(鄕約), which is considered to have established the origin of Joseon Hyangyak.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will first analyze where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of Hyang-yak comes from. Through this analysis, we will reveal that Toegye s Hyang-Lip-yak-jo(鄕入約條) can be seen as a Hyang-yak. Next, we will compare and analyze Toegye s Hyang-yak and Xhu xi's Hyangyak(Jeung-son-yeo-ssi-hyang-yak『增損呂氏鄕約』), which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Joseon society. In this process, Toegye s Hyang-yak is different from that of Xhu xi s, and since such features come from the unique history of Joseon society, it will be revealed that Toegye s Hyang-yak has opened the door to the origin of Joseon s Hyang-yak. Finally, by clarifying the value contained in Toegye s Hyang-yak, which is said to have established the origin of Joseon Hyang-yak, we will reveal the significance of Joseon Hyangyak and introduce the positive value of Toegye s Hyang-yak, which can help establish a desirable local autonomy organization today.

Download PDF list




 
[42411] 대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 219 인문사회관 윤리교육과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10-9778-3058 (남재민, 총무간사)      FAX 053-620-1300      ddpa2@ddpa98.org
Copyright ⓒ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