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229-0750

대동철학 (2011)
pp.239~262

‘영혼의 병고치기’ 또는 ‘영혼의 밭갈기’로서의 철학 : 후기고대 동방과 서방에서의 철학의 목적론적 개념과 문화사적 의의

전광식

(고신대학교 신학과 교수.)

유스티니안황제에 의한 아카데미 폐쇄 이후, 쇠퇴기에 접어든 헬라철학의 명맥을 유지해가던 알렉산드리아의 신플라톤주의자들 (Ammonios, Olympiodoros, Elias, David, Stephanos)은 철학사상 처음으로 철학의 정의들과 분류법들을 정리한 철학입문서 Prolegomena Philosophiae를 집필한다. 그 가운데 가장 체계적인 Prolegomena Philosophiae를 남긴 David는 모든 전래적인 개념들을 모아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정의로 제시한다. 첫 번째 정의인 ‘존재하는 것으로서의 존재자들에 대한 인식’과 두 번째 정의인 ‘신적인 것들과 인간적인 것들에 대한 인식’은 주제에 따른 정의요, 세 번째 정의인 ‘죽음에의 연습’과 네 번째 정의인 ‘신에게의 동화’는 목적에 따른 정의이며, 다섯 번째 정의인 ‘기술 중의 기술, 학문중의 학문’은 수월성에 따른 정의요, 여섯 번째 정의인 ‘지혜에의 사랑’은 어원에 따른 정의이다. 그런데 이러한 여섯 가지 정의 이후에 일곱 번째 정의요, 어쩌면 결론적인 것이라 할 수 있는 정의가 등장하는데, 그것은 곧 철학을 ‘영혼의 치유법’과 ‘영혼의 치장술 또는 계발법’로서 정의한 것이었다. 영혼학으로서의 철학의 두 가지 개념은 David를 비롯한 후기고대에서 신플라톤주의 철학자들이 ‘신적인 철학자들’로 추앙한 피타고라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에게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미 철학의 여섯 가지 정의의 근원이기도 한 이들 고대헬라철학들은 철학이 인간의 영혼을 정화시키기도 하고 계발하기도 한다는 이념을 개진하였다. 그런데 학자와 학파, 그리고 종교에 따라 ‘영혼의 병고치기’와 ‘영혼의 밭갈기’라는 강조점의 차이를 보임에 따라 그 후속사가 상이하게 전개됨을 볼 수 있다. 철학을 ‘영혼의 치유법’으로 보는 관점은 동방적 전승이 강하지만 동서를 막론하고 종교적 사상이 강한 경우에는 이러한 입장을 고수하는 것이 보인다. 이를테면 아우구스티누스와 같은 서방기독교사상가, 신플라톤주의자들, 비잔틴사상가들과 Al-Kindi나 Al-Razi와 같은 이슬람 철학자, 그리고 중세기의 Maimonides와 같은 유대사상가 등 주로 종교적 전통으로 내려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반면 철학을 ‘영혼의 치장술’로 보는 시각은 주로 서방에서 로마의 Cicero, 페르시아의 논리철학자인 Paulus Persa, 시리아의 학자들인 Severus나 Michael Bādōqā, 그리고 아랍논리학자인 Ibn Bihrīz 같은 일반학문적 전승으로 이어져 옴을 볼 수 있다. 이렇게 후기고대에서의 철학의 목적론적 개념에 대한 이해의 미묘한 차이로 인해 동서방의 학문, 종교, 문화, 문명이 각기 다른 강조점을 가지고 다른 방향으로 발달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 결과로 동방기독교사상계나 이슬람에서는 철학이 종교와 결합되고 심지어 종교화된데 비해, 서방에서는 종교적 실천과 철학이 분리되어 결과적으로 철학이 이성적 체계인 합리론이나 아니면 감각중심의 경험론으로 환원되어 버리고 말았던 것이다. 나아가 그로 인해 영혼치유를 강조한 철학의 종교적 전승에서는 자기부정과 정화를 추구하는 신비주의 및 수도적인 종교문화를, 반면 영혼계발을 부각시킨 일반적 전승에서는 논리학과 정신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인본주의적인 서구문화를 산출하게 되었다.

Philosophy as 'healing of the soul' or 'cultivating of the soul': A Study on the teleological concept of philosophy and its cultural-social significance in later antiquity

Koang-Sik CHON

After closing of Platonic Academy in Athen by the Emperor Justinian in 527 A.D., Neoplatonists of Alexandrian school as Ammonios, Olympiodoros, Elias, David, Stephanos published philosophical textbook respectively, Prolegomena Philosophiae, containing various definitions and divisions inherited from ancient Greek philosophers, especially from three 'divine' philosophers as Pythagoras, Plato, and Aristotle. Among such textbooks, David's one is the best in logical and systematic description of the textbook. He arranged all traditional various definitions of philosophy into six definitions according to subjects, aims, superiority and etymology of philosophy, as the followings: according to its subjects, knowledge of existence as such and knowledge of divine and human things; according to its aims, contemplation of death and becoming similar to God as far as it is humanly possible; according to superiority, the art of arts and the science of sciences; lastly, according to its etymology, love of wisdom. However, there is still remained another definition, which is probably the last, most important one among all definitions, that is, perfection of soul. This seventh definition is a kind of teleological definitions of the philosophy beside contemplation of death and becoming similar to God. The perfection of human soul can be divided concretely into two aspects or directions: the purification of soul and the development of soul. According to its final definition, philosophy can heal the disease of the human soul on the one hand, and beautify it on the other hand. In these cases, philosophy is therapeutics(cura animae) or medicine of soul(animi medicina), and cosmetic and adornment(adornatio et cultura animae) of it. The idea of philosophy as perfection of human soul can be found primarily in Platon's dialogue, in which Socrates enters the stage as a true doctor to treat and to cure the souls of Athenian people. Platon's view of philosophy as cure of soul and development of soul had been inherited to later ages through medieval times in two courses, eastward and westward. Which definition of the both had been accepted more, depend on mostly whether any thinker is religious or not, then whether he belongs to west or east, and lastly whether he follows Platon's philosophy or Aristotle's thought. Generally speaking, if anyone is a religious thinker, or belongs to east, or follows Platon's philosophy, he probably hold fast to the definition of philosophy as cure of soul. In contrast, if anyone is a non-religious philosopher, or belongs to west, or follows Aristotle's thought, he perhaps accepts the definition of philosophy as development of soul. To former belong Neoplatonists, Byzantine orthodox thinkers, islamic philosophers as Al-Kindi and Al-Razi, and western christian thinkers as Augustine, to latter correspond Cicero and western humanists, Persian philosopher Paulus Persa, Syrian scholars Severus and Michael Bādōqā, and Arab logician Ibn Bihrīz. The slight difference of understanding on teleological concepts of philosophy played so important role in west and east that they go in different ways in areas of scholarship, religion, culture and civilization. As result, philosophy is combined with religion and even changed into religion in eastern christian world as well as in Islamic world, whereas, in west, philosophy is separated from religious practice and reduced merely to rational system or sensitive empiricism Moreover, in the religious tradition of philosophy as cure of soul are monastic asceticism and mysticism developed, in contrast to it, logics and humanities in the general tradition of it as development of soul. Therefore, the concept of philosophia as cura animae made mystic-religious culture with pessimistic worldview, contemplation and exercise of death, and ideal of the becoming similar to God mostly in the religion and in the eastern world, while the definition of it as cultura animae published humanistic culture to achieve perfection of human soul in various ways with optimistic worldview in the academic area and in the western world.

Download PDF list




 
[42411] 대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 219 인문사회관 윤리교육과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10-9778-3058 (남재민, 총무간사)      FAX 053-620-1300      ddpa2@ddpa98.org
Copyright ⓒ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