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229-0750

대동철학 (2007)
pp.21~48

메를로-뽕띠의 살존재론적 미학에서 예술적 봄에 대한 연구

김병환

(부산대학교 철학과 강사.)

이 논문은 메를로-뽕띠의 살존재론적 미학에서 예술세계 속 눈과 정신의 상호작용적 특성을 밝히고, 예술세계의 다양한 차원의 특성과 예술세계 속 예술주체의 예술존재론적 특성을 해명하며, 예술적 봄․가시적인 것․비가시적인 것의 상관적 특성 및 예술적 살과 예술적 차이장 속 예술적 융합․통일․차이의 역동적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술세계에서 몸-주체의 눈과 정신의 상호작용은 ‘몸 속 <눈 ⇄ 정신>’이 된다. 예술세계에서 눈과 정신은 봄과 사고의 얽힘장식을 구성한다. 예술적 봄에 있어서 예술적 차이장 속 <눈과 정신>은 서로 ‘차이장 속 차이와 함께 하는 환원’을 행한다. 전체화하는 통합적 사고는 그 대상에 마주 대하여 거리를 두고서, 접촉과 뒤섞임에 대한 거부에 근거를 두지만, 예술적 사고는 뒤섞임의 성질을 가진다. 예술주체에게 있어서 나타남의 구조에 일관적인 세계의 열림은 욕망에 근거를 둔다. 예술주체는 예술에 대한 원초적 욕망과 의식적 욕망을 표현하는 존재자라고 말할 수 있겠다. 예술세계 속 비가시적인 것은 시선에 잡혀지지 않는 것이다. 주름은 안과 밖의 분리가 아니라 안과 밖의 이중성을 가진다. 예술세계 속에서 감상자와 예술작품의 상호작용은 감각하는 자와 감각되는 것의 상호적 교차로서 그들의 맞물림 작용이다. 예술진리-속으로의-존재란 예술세계 속 예술 그 자체와 예술미를 펼치는 존재를 뜻한다. 부정적인 것은 아무것도 아닌 것이 아니기 위해서 존재를 부르는 것이다. 살은 우연성, 카오스가 아니라, 자기로 돌아가고 자기 자신에게 적합한 조직이다. 예술세계에서 탈중심화의 힘은 펼쳐지고 연결된다. 예술적 살은 예술적 차이장 속에서 맞물림의 구조와 융합․통일․차이의 존재 방식을 가진다고 말할 수 있겠다.

L'tude sur la vision artistique dans esthtique ontologique de chair de Merleau-Ponty

Kim, Byeong-Hwan

Cette thèse vise à élucider la caractéristique mutuelle de l'oeil et de l'espris dans le monde d'art, à expliquer la caractéristique de la dimension diverse dans le monde d'art et la caractéristique ontologique d'art du sujet d'art dans le monde d'art, à élucider la caractéristique relative de la vision artistique․le visible․l'invisible et la qualité dynamique de la chair artistique et fusion․unification․différence dans le champ de la différence artistique. L'interaction de l'oeil et de l'espris du corps-sujet dans le monde d'art est ' dans le corps'. L'oeil et l'espris constituent l'entrelacs de la vision et de la pensée dans le monde d'art. dans le champ de la différence artistique font 'la réduction avec la différence dans le champ de la différence' dans la vision artistique. La pensée totalisante et intégriste repose sur la distance vis-à-vis de son objet, sur le refuse du contact et de la promiscuité, mais la pensée artistique a la qualité de la promiscuité. L'ouverture du monde inhérente à la structure de l'apparaître repose sur un désire originaire chez le sujet d'art. Je peux parler que le sujet d'art est l'etant qui exprime le désire primitif et le désire conscient. L'invisible dans le monde d'art échappe à la vue. Le pli a non ségrégation du dedans et du dehors mais le double du dedans et du dehors. L'interaction de l'appréciateur et l'oeuvre d'art dans le monde d'art est leur entrelacement comme le croisement mutuel de le sentant et le senti. L'être-à-la-vérité-d'art veut dire l'être qui deploie l'art même et la beauté d'art dans le monde d'art. Le négatif appele l'être pour n'être pas rien. La chair n'est pas contingence, chaos, mais texture qui revient en soi et convient à soi-même. La force de décentrement se déploie et s'articule dans le monde d'art. Je peux parler que la chair artistique a la structure d'entrelacement et le mode d'être de fusion․unification․différence.

Download PDF list




 
[42411] 대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 219 인문사회관 윤리교육과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10-9778-3058 (남재민, 총무간사)      FAX 053-620-1300      ddpa2@ddpa98.org
Copyright ⓒ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