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229-0750

대동철학 (2022)
pp.1~32

DOI : 10.20539/deadong.2022.101.001

상대론적 시공간의 합리적 재구성과 물리적 객관성 - 라이헨바흐의 경험주의 시공간 철학 연구 -

강형구

(국립대구과학관 전시기획연구실 선임연구원)

상대성 이론에 대한 라이헨바흐의 철학적 분석을 대표하는 저술은 그의 1924년 저서 『상대성 이론의 공리화』이다. 이 책은 상대성 이론에서 제시된 시공간에 대한 일 종의 ‘합리적 재구성(rational reconstruction)’을 담고 있으며, 그는 이러한 재구 성을 통해 상대성 이론이 제시한 중요한 철학적 문제인 ‘시공간의 객관성’ 문제를 해 명하고자 했다. 우선 나는 논문 2장에서 라이헨바흐의 구성적 공리체계 속 공리와 정 의 및 단순성의 의미에 대해 논함으로써 이 체계가 갖는 ‘경험적 특성’을 밝힌다. 논문 3장에서 나는 ‘일치(coincidence)’에 대한 라이헨바흐의 해명 및 그가 구성적 공리체 계를 통해 재구성한 상대론적 시공간의 주요 내용을 기술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나는 라이헨바흐가 합리적 재구성을 통한 철학적 해명 과정에서 시공간의 물리적 객 관성에 관해 이론의 창시자였던 아인슈타인과는 다른 철학적 결론에 이르렀음을 보일 것이다. 논문 4장에서 나는 라이헨바흐의 구성적 공리화가 갖는 의의를 평가했던 주 요 철학적 논자들의 입장을 검토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나는 신칸트주의적 관점에서 라이헨바흐의 구성적 공리체계가 갖는 의의를 비판한 철학자 토머스 리크먼의 입장을 검토한 후, 이와 같은 리크먼의 부정적인 평가가 라이헨바흐의 구성적 공리체계에 대 한 일종의 오해에서 비롯되었음을 보인다. 리크먼의 주장과 달리 라이헨바흐는 강체 막대와 시계가 갖는 구조적 복잡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빛 공리들과 물질 공리들을 분 리하였으며, 그는 물질 공리들과 계량적 공리들이 더 이상 적용되지 않는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이르러서도 빛 신호로 구성된 위상적 공리들은 여전히 적용됨으로써 시공 간의 객관성이 유지됨을 보이고자 했다. 논문의 결론에서 나는 물리학자와 철학자의 이와 같은 의견 차이가 이후 물리적 기하학의 경험적 결정 가능성에 대한 아인슈타인 -라이헨바흐 논쟁으로 이어졌음을 지적하며 논의를 끝맺는다.

Rational Reconstruction of Relativistic Space and time and the Physical Objectivity of Space and Time : A Study on Reichenbach’s Axiomatization of the Theory of Relativity (1924)

Kang, Hyeong-Gu

Reichenbach’s major work in his philosophical analysis of relativity theory is his 1924 book Axiomatization of the theory of relativity. This book is a kind of ‘rational reconstruction’ of the relativistic space-time in the theory of relativity. Reichenbach tried to explicate the major philosophical problem of relativity theory by his rational reconstruction. The problem was the objectivity of space and time in general relativity. In chapter 2, I discuss the meaning of axioms, definitions and simplicity in Reichenbach’s constructive axiomatic system. In chapter 3, I describe Reichbach’s explication of the meaning of ‘coincidence’ and major contents of his constructive axiomatic system. I show that Reichenbach arrived to different conclusion on the objectivity of space-time compared to Einstein’s conclusion. In chapter 4, I discuss on several philosophers views who discussed on the significance of Reichenbach’s constructive axiomatization. Especially I argue that Thomas Ryckman’s negative judgement on Reichenbach’s axiomatization is from his misunderstanding on the axiomatization. Contrary to Ryckman’s opinion, Reichenbach divided light axioms and material axioms to avoid structural complexity of rigid rods and clocks. Furthermore, Reichenbach tried to show that topological axioms which use light signals still hold in general relativity in which material axioms and metrical axioms do not hold anymore. This means that objectivity of space and time still maintains in general relativity. Finally, I point out that philosophical disagreement between Reichenbach and Einstein continued to their debate on the empirical determinability of the physical geometry.

Download PDF list




 
[42411] 대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 219 인문사회관 윤리교육과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10-9778-3058 (남재민, 총무간사)      FAX 053-620-1300      ddpa2@ddpa98.org
Copyright ⓒ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