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229-0750
대동철학 (2001)
pp.97~126
배움공동체의 “지혜-사랑” 공동체로의 전환
한국의 대학교육에서의 “인문학의 위기”라는 진단에 대하여, 본 소고는 철학하는 사람들의 철저한 “지혜-사랑” 정신의 회복 및 “철학함”의 자세에 대한 자기성찰을 촉구하는 뜻에서 씌여 졌다. 이를 위하여, 필자는 살아있는 철학교육이 이뤄지는 교육의 현장을 지향하면서, 우리의 이상적인 철학교육의 모습을 그려내기 위하여, 우선, 간접적으로나마, Teaching Philosophy에 최근 게재된 몇 편의 논문을 중심으로 철학교육의 유형들을 분석, 필자 나름의 철학교육 모델들 간의 관계를 조망하는 좌표를 구성하여 보았다.
먼저, “철학함”의 목표를 어디에 두고 있는지에 따라 철학교육 모델의 Y축을 잡아보았는데, 한쪽은, 논리적 추론을 통한 객관적인 타당성, 합리성을 추구하는 “이성(reason)"에, 다른 한쪽은 인간의 삶의 주관성, 다양성을 포괄하면서 초월적 가치를 추구하는 "지혜(wisdom)"에 있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X축은, 철학하기의 활동을 개인적인 영역에서 개체들의 주체적이고 고독한 사고로부터 이뤄져야 하는 점에 초점을 맞추는 방향과, 공동체 속에서 함께, 더불어 철학하기가 이뤄지면서 철학교육이 지니는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 이 두 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그러면 이러한 두 축 각각의 방향에 따라 네 가지의 좌표면이 형성되는 것이고 이는 철학교육 유형의 분류근거를 제공하여 주는 것이다.
필자가 분석하기로는, Ennis의 ”논리-비판적 사고력 모델“은 인간의 보편적인 합리적 이성능력을 개인적인 차원에서 추구하고있는 반면에, Hilderbrand는 그 합리성을 사회적 차원에서 추구하는 Dewey 철학을 근거로 한 ”민주시민을 위한 도구적 이성 모델“을 주창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철학하는 보다 근원적 목표가 삶의 유의미성 추구 및 자기성찰적 삶을 사는데 있음을 주장하는 모델로서는, 이를 개인적 차원에 기초하여 추구하는 Conway식의 ”자기성찰적 득도 모델“과, 공동체에 기저해서 그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고 보는 Lipman의 어린이 철학교육 프로그램이 지향하는 ”창조적 탐구공동체“ 모델이 이에 해당한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볼 때, 필자는 철학교육의 네 가지 모델들의 핵심에는 철학함(doing philosophy)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들을 표출하고 있다고 생각하였고 이는 인문학의 중심을 이루는 철학(지혜-사랑)의 정신을 드러내고 있다고 본다. 아직 완결되어진 분석은 아니나, 필자 나름대로의 상징적 비유를 가지고 이를 명명한다면, 다음 세 가지가 된다.
첫째는 살아있는 삶 속에서 끊임없이 일어나는 , , 그리고, 자기 자신이 소외되지 않는 진솔한 물음이 철학함의 진정한 출발점이고 그 철학하기 활동을 유지시키는 원동력이라는 의미에서 “삶”이다. 둘째는, 사람다움의 특징을 “통전성(integrity)"에서 찾을 때, 철학함은 상상력과 창의력의 기본이 되는 ”전체를 조망하는 통찰력“에 있다고 여겨지므로, 새로운 패러다임에로의 전환을 이끄는 인문학적 소양의 핵은 이러한 철학함의 ”사람“이다. 셋째로, 진정한 의미의 자율적 사고는 그 개인이 속한 공동체의 성숙과 더불어 이뤄진다는 생각에서, 철학함의 ”역동적인 사고의 공유된 지평 넓혀가기“의 요소를 ”숲의 새“에 비유하였다.이러한 철학교육의 모델 분석이 우리의 교육현실에 적용되기 위하여, 앞으로의 비판을 기대한다.
Transformation of a learning community into the "philos-sophia" community
My diagnosis for the Crisis of Humanities is based on the retrieval of "doing philosophy" (i.e., to do "love of wisdom") in the field of teaching philosophy. I recognizes that there are different directions of teaching philosophy in order to realize this ideal of doing "philos-sophia". My aim of this paper is to reconstruct a map which enables us to inclusively explain the various modes of teaching philosophy. Mainly by means of reviewing some articles in Teaching Philosophy, I come to draw a "matrix of teaching philosophy" (See the figure #1).
On the one hand, the Y-axis (vertical pole) reveals two different philosophical ideals as the essential goals of philosophy class. While Ennis' "critical thinking" and Hildebrand's "habits of intelligence" draw an
ideal picture that basically pursues the development of "rationality" of human beings in general, Conway's
"self-reflective life" and Lipman's "community of inquiry" are in common with the ideal picture of pursuing life-examination toward a wisdom and a keen insight to the life, rather than an objective validity. On the other hand, the X-axis (horizontal pole) allows us to categorize these ideals in two different directions.
Ennis' "decontextualized rationality" and Conway's "thinking for oneself" in the self-awareness can be regarded as a "solo-race" mode toward the ideal picture in order to cultivate advanced intellectuals. On the contrary, Hildebrand's "problem-solving inquiry" for future living and Lipman's "socio-communal inquiry" in a philosophy classroom are directed by a "cooperative dialogue" mode toward the harmony with others in a community, for the purpose of creating a new "truth" and a future vision of the community.
My crude reconstruction of four models in teaching philosophy is open to be criticized in order to "re-create" our own model which is appropriate to the educational reform in Korea today.
From the perspective of mapping the ideals and modes in teaching philosophy, I suggest three crucial characteristics of doing philosophy: a genuine curiosity in a real and live situation (Life), an inclusive understanding to generate a paradigm shift (Integrity), and an autonomy fostered in a socio-communal dialogue or discussion (Birds in Forest). Although the three-circle-relationship (See the figure#2) is a tentative picture, I hope that it challenges us to substantiate the spirit of "love of wisdom" into a learning community in our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