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229-0750
대동철학 (2022)
pp.227~251
오징(吳澄) 도통관과 존덕성 공부론의 정주학적 특성
원대 유학자 오징(吳澄)은 주희의 사전제자이지만 주륙화회 혹은 육학에 귀의했다는 평 가를 받는 인물이다. 그 근거는 그가 주희 후학들의 도문학 학풍을 비판하고 존덕성을 강 조했다는 것이다. 오징이 육구연에 대해 수차례 호의적으로 언급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이것이 그가 학파적 정체성 및 공부방법론을 변경했다는 근거가 되기는 부족하다. 그가 주희와 육 구연에 대해 논하면서 진지와 실천을 강조한 대목은 주륙화회의 대표적인 근거이지만, 이 는 전형적인 정주학적 선지후행의 구조를 견지한 것으로, 주희 후학들의 지행분리와 대비 되는 육구연의 실천적 기풍에 호감을 표시했을 뿐이다. 또한 오징이 강조한 존덕성 공부는 육구연이 비판한 정주학적 주경공부라는 점에서 존 덕성 공부를 강조했다는 것은 육학에 귀의한 근거가 될 수 없다. 오징은 표면적으로만 주 경공부를 강조했던 것이 아니라 공부의 세부항목에서도 정주학적 공부방법을 계승했다. 대표적인 것이 미발시의 정제엄숙과 이발시의 성의(誠意) 공부이다. 오징의 주경공부 중심의 존덕성공부론은 도통론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오징 의 도통론은 정주학의 그것과 완전히 일치하며, 요순으로부터 자신에게 이르는 도통의 핵 심조건으로 주경공부를 제시했다. 그는 육구연에 대한 호의적 평가에도 불구하고 도통을 논할 때는 단 한 번도 그를 포함시키지 않았다. 즉 인간의 선한 심성을 학문의 전제와 대 상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육구연을 도통의 일원이라고 인정하기는 했지만 도통의 핵심 계 승자로 인정하지는 않았던 것이다. 필자는 오징이 주경공부를 도통의 핵심조건으로 보았 다는 점과 육구연이 주경공부에 반대했다는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그가 육구연을 도통의 핵심 계승자에서 배제한 원인을 추론했다. 오징은 성학의 일원인 점과 실천적 기풍을 들어 육구연을 우호적으로 평가하고 있지만, 정주학적 주경공부론 및 이와 밀접하게 결합된 도통론을 견지했다는 점에서 학문방법론과 학파적 정체성의 측면에서 여전히 정주학을 계승하는 입장을 고수했다고 볼 수 있다.
Research for Relationship between Wu Cheng’s Confucian Orthodox Theory and Honoring Moral Nature Study
Wu Cheng was a Confucian scholar in Yuan Dynasty and a Zhu Xi’s the forth generation of disciples. However, he is generally considered to “reconciling Zhu-Lu” or “convert to Lu JiuYuan”. The basis is that he criticized following the path of Inquiry and study of Zhu Xi’s disciples and emphasized honoring moral nature study. It is clear that Wu mentioned Lu positively several times, but this is insufficient to serve as the basis for changing his academic identity and study methodology. For instance, his emphasis on sincere knowledge and practice while discussing Zhu-Lu is the representative basis of “reconciling Zhu-Lu”, but this maintained the typical structure of “know first and practice it later” methodology, it is only expressing his favor for Lu’s practical spirit in contrast to Zhu’s disciples’ inconcsistency of knowledge and practice. In addition, the emphasis on honoring moral nature study cannot be a basis for “convert to Lu”, because this study emphasized by Wu is Chenghu style ZhuJing study which criticized by Lu. He did not only emphasize superficially, but also inherited the Cheng-Zhu study method in detail. Typical examples are Zhengqi-Yansu in Weifa-Shi(未發時) and Cheng-yi in Yifa-Shi(已發時). Honoring moral nature study centered on the ZhuJing study of Wu, is also closely related to his orthodox theory. It is completely consistent with orthodox theory of Cheng-Zhu school, and he suggested ZhuJing study as an essential term for Confucian orthodox. Despite his favorable assessment of Lu, he never included Lu when discussing Confucian orthodox. In other words, he agreed that Lu is a member of Confucian tradition because he made good-natured heart the premise and object of studying, but did not regard Lu as a key successor of Confucian orthodox. Considering comprehensively Wu’s regard ZhuJing study as an essential term of Confucian orthodox and Lu’s criticism about ZhuJing study, I inferred the cause of his exclusion of Lu from key successor of Confucian orthodox. Wu evaluated Lu positively becauce Lu also participated in Confucian orthodox and had practical spirit, but Wu still maintained Cheng-Zhu school’s identity and academic methodology in that he maintained ZhuJing study and Confucian orthodox theory closely related to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