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229-0750

대동철학 (2020)
pp.163~195

DOI : 10.20539/deadong.2020.93.007

친밀성의 구성과 구조의 전환

박구용

(남대학교􀀁철학과􀀁교수/광주시민자유대학)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친밀성 구성과 구조의 불가역적 전환의 요소를 정리하는 것이 다. 이를 위해 2장은 어느 유대인 소녀의 홀로코스트 기억( 삶은 계속된다 )과 1945년 봄 베를린에서 익명의 독일 여성이 경험한 참혹한 역사( 함락된 도시의 여자 )를 들여다본 다. 여기서 우리는 개인이 프라이버시 공간에서 동등한 자유를 갖기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심지어 가족이나 연인의 친밀성 외부가 아니라 내부에 항상 폭력이 잠재되어 있 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3장은 친밀성의 구성과 구조의 전환에서 두 편의 소설을 매우 중요한 담론 사건으로 간 주하고 이를 분석한다. 먼저 친밀성의 관점에서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 에 대한 새로운 비평이 시도된다. 로미오와 줄리엣 을 관통하는 비극은 친밀성 구성의 주체로서 가족과 개인의 필연적 충돌에서 비롯된 것으로 해석된다. 나아가 줄리엣은 친밀성의 구성 주체로서 자유, 곧 자율을 선취한 영웅으로 규정된다. 이어서 괴테의 친화력 은 낭만적 친밀성과 인륜적 친밀성의 필연적 모순이라는 프레 임으로 새롭게 비평된다. 여기서 오틸리에의 침묵은 철학적 비평의 핵심 주제가 된다. 그 녀의 침묵은 모순의 해소 불가능성으로 해석된다. 4장은 두 담론 사건에 대한 비평을 토대로 친밀성의 구성과 구조의 전환을 여섯 가지로 정리한다. ①친밀성의 구성 주체가 가족에서 개인으로, ②친밀성 구성 절차가 묵시적 교류 에서 명시적 합의로 전환되었다. 나아가 친밀성의 구조가 ③총체적 인격의 공유에서 부분 적 감정의 교환으로, ④지속성에서 분절성으로, 그리고 ⑤유일무이한 대체불가능성에서 개방적 네트워크 체계로 전환되었다. 마지막으로 ⑥친밀성을 규제하는 규범이 신뢰나 믿 음 같은 정서에서 정의(이성)와 연대(감성)의 균형으로 전환되었다. 친밀성의 구성과 구조의 전환을 받아들이지 않는 문화(의식)지체 현상은 어디서나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친밀성의 구조변동을 해명하면서 동시에 친밀성의 영역을 제약 할 수 있는 비판의 규범적 기준을 제안할 가치가 있다. 이 글에서 임의적으로 제안된 비판 의 기준은 의사소통적 비지배의 자유다. 관련된 모든 사람이 동등하게 의사소통적 비지배 의 자유를 향유할 수 있는 친밀성만 규범적으로 정당하다는 논리다.

The Transformation of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Intimacy

Park, Goo-Yong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e irreversible factors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intimacy. To this end, in Chapter 2, I look at a Jewish girl's memory of the Holocaust(Weiter Leben) and the terrible history of an anonymous German woman in Berlin in the spring of 1945(Eine Frau in Berlin: Tagebuchaufzeichnungen vom 20. April bis 22. Juni 1945). Here we can see that it is difficult for individuals to have equal freedom in the privacy space. It shows that there is always potential violence inside rather than outside of the intimacy of the family or partner. Chapter 3 considers the two novels as very important discourse events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intimacy and analyzes them. First, a new critique of Shakespeare s Romeo and Juliet is attempted from the perspective of intimacy. The tragedy penetrating Romeo and Juliet is interpreted as originating from the inevitable conflict between the family and the individual as the subjects of intimacy composition. Furthermore, Juliet is defined as a heroine who preempted freedom, that is, autonomy as a constituent of intimacy. Subsequently, Goethe s Die Wahlverwandtschaften is newly criticized as a frame of inevitable contradiction between romantic intimacy and conventional intimacy. Here, Ottilie s silence becomes a central theme for philosophical criticism. Her silence is interpreted as the impossibility of resolving contradictions. Chapter 4 summarizes the transformation of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intimacy in six different ways based on the criticism of the two discourse events. The transformation occurs: ① from family to individual as the constituent subjects of intimacy; ② from implicit exchange to explicit agreement as the procedure of constituting intimacy; ③ from the sharing of the total personality to the exchange of partial emotions, when it comes to the structure of intimacy; ④ from persistence to segmentation; ⑤ from the unique irreplaceability to an open network system; and ⑥ from emotions such as trust and belief to a balance between justice (reason) and solidarity (sensibility), when it comes to the norms that regulate intimacy. The phenomenon of cultural (consciousness) lag that does not accept the transformation of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intimacy can be easily identified anywhere. Therefore, it is worth proposing a normative criterion for criticism that can constrains the realm of intimacy while elucidating the structural changes of intimacy. The criterion of criticism arbitrarily proposed in this article is the communicative freedom of non-domination. The logic is that only the intimacy that everyone involved can equally enjoy the communicative freedom of non-domination is normatively justified.

Download PDF list




 
[42411] 대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 219 인문사회관 윤리교육과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10-9778-3058 (남재민, 총무간사)      FAX 053-620-1300      ddpa2@ddpa98.org
Copyright ⓒ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