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229-0750

대동철학 (2024)
pp.49~77

DOI : 10.20539/deadong.2024.107.003

근대역사문화공간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개념적 검토

김치완

(제주대학교 철학과 교수 )

서양 고대철학 이래로, 중세와 근대에 이르기까지 공간은 존재가 생성 변화하는 ‘곳’이 면서, 그러한 ‘일과 존재[事物]’를 목격하고 인식하는 ‘곳’으로 주목받았다. 그런데 근대 공 간은 배타적 소유의 대상으로 전락하였고, 서양 제국주의 역사와 함께 확정되면서 압축되 는 국가 경계로 말미암아 존재론적 장소가 소멸되었다는 비판에 직면하였다. 냉전체제 구 축과 함께 오히려 확장되는 양상을 보이면서 모던의 이상적 공간으로서 근대 도시 공간이 더는 존재할 수 없다는 우려가 제기된 것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논의가 제기되었지만, 젠트리피케이션, 곧 도시 재생이 문제 해결 방 안으로 부상했다. 하지만 영국의 ‘내셔널트러스트’와 독일의 ‘연대적 공간 확보’ 등에서도 확인되듯이 젠트리피케이션은 오히려 공간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전제로 근대 해항도시 목포의 ‘근대역사문화공간 재생 활성화 사업’의 면면을 살펴보았다. 이 사업의 취지는 지역 정체성 확립이라는 이상과 그것을 통한 도시 공간의 지속가능성 확보라는 현실을 아우르는 묘안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중앙정부와 지자체 주도의 사업이 ‘지난 기억의 명료성 확보’에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현재 생활상을 얼마나 어떻게 반영할 수 있을 것인지, 얼마나 지속될 것인지는 의 문이다. 문제의 본질이 근대 공간의 태생적 문제점에 있기 때문이다. 존재가 아니라 소유 를 중심에 두는 근대 공간은 지역 정체성과 지역 주민보다는 경제적 효과에만 집중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와 먼저 직면했던 선진 근대국민/민족국가의 선례를 토대로, 일상의 삶을 통해 지역 정체성을 구축해나가는 지역 주민이 주체가 되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Conceptual Review of the Sustainability of Modern Historical Cultural Space

Kim, Chi-Wan

In Western ancient philosophy, space was regarded as a ‘place’ where existence was created and transformed, and as a ‘place’ where such ‘things and existence’ were witnessed and recognized. This tradition persisted even in the medieval era, which centered on God. God created ‘everything that was full in the past, is present, and will be in the future’ in the world. The tradition of spatial understanding as both the ‘object’ of creation and wonderment, as well as the ‘place’ where it is witnessed, unfolded and completed, continued into the enclosure movement. However, the emergence of modern space led to its transformation into an object of exclusive ownership, and as Western imperial history unfolded, existential places were extinguished due to the constricting national boundaries. This issue escalated during the Cold War era, raising concerns that the modern urban space could no longer exist as the ideal space of modernity, but rather as an expanding concern. Consequently, gentrification, namely urban regeneration, emerged as a solution. However, as evidenced by initiatives like the ‘National Trust’ in the UK and ‘Solidarische Raumnahme Hamburg(The Solidarity Movement for Space)’ in Germany, gentrification threatens the sustainability of spaces. Based on this premise, we examined each and every side of the ‘Revitalization Project of Modern Historical Cultural Spaces’ in Mokpo, a modern port city. The purpose of this project can be seen as a solution that encompasses the ideal of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and the reality of securing the sustainability of urban space through it. However, while the project 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authorities may be effective in ‘securing the clarity of past memories,’ there are doubts about how effectively they can reflect current lifestyles and how sustainable they are. In such circumstances, criticism arose regarding the speculative allegations and media behavior of a member of Parliament from Mokpo in early 2022. The crux of the issue lies in the inherent problems of modern space rather than in the unequal power dynamics between the member of Parliament exploiting her authority for personal gain and the unequal power dynamics between central and local media reporting on it. Consequently, in addressing these issues, it is essential to draw lessons from the precedents of advanced modern People(gugmin)/Nation-States which first confronted these issues, aiming to seek multifaceted and comprehensive directions linked to our sustainable spaces through regional identity.

Download PDF list




 
[42411] 대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 219 인문사회관 윤리교육과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10-9778-3058 (남재민, 총무간사)      FAX 053-620-1300      ddpa2@ddpa98.org
Copyright ⓒ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