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229-0750

대동철학 (2020)
pp.135~166

DOI : 10.20539/deadong.2020.92.06.

제주 여성 연구의 시선(視線)에 대한 철학적 검토

김치완

(제주대학교 철학과 교수)

바람, 그리고 돌과 함께 제주 여성은 오래전부터 관심의 대상이었다. 그런데 이 관심은 他 者의 시선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문제는 그러한 관심에 자극받아서 이루어진 주체의 시선도 타자의 시선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는 현실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제주 여성을 주제로 삼았던 선행연구의 ‘視線’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먼저 신화의 여성성 연구에서 는 타자의 시선에 주목하였다. 민주화 운동을 기점으로 여성신화 연구가 활성화된 것은 대항 담론적 성격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남성 중심의 주류문화에 대항하는 여성원리의 원형을 신화에서 찾고자 하는 시선에서는 제주 여성을 타자로 보는 문제점이 드러난다. 다음으로 일 상의 신화적 연구에서는 주체의 시선에 주목하였다.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여성 노동력의 가치가 절하되어 남녀의 경제적 불평등이 심화되는 경향 속에서 전통적 삶의 주체로서 제주 해녀를 소재로 한 연구가 증가했다. 이 연구들은 제주 해녀의 신화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가 지고 있으므로, 여성성의 신화를 탈신화화 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기억 의 재구성 연구에서는 자기 응시에 주목하였다. 2000년 이후 제주 여성 연구는 ‘기억의 주체’ 에 집중하게 되었다. 제주 4 3을 기억하고 증언하면서 제주 여성은 ‘남성성에 대립하는 이념’ 으로서의 여성성, ‘젠더적 이미지’를 넘어선 스스로를 응시하게 된다. 이러한 자기 응시가 ‘제 주의 여성’에 국한되지 않고, 문화이주민을 포함한 여성 일반으로 확대되어나가야 할 것이다.

Philosophical Study on the Other s Gaze of Jeju Female Study

Kim, Chi-Wan

Jeju females along with wind and stones has been the object of attention for a long time of period. But this attention originated from the other s Gaze. It is real that even the eye of the subject made by the stimulation by such attention is difficult to get out of The others ey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Gaze of preceding studies, which have taken Jeju females as their subject so far. First of all, the study of the femininity of myths emphasized the other s Gaze. The reason why research on female myths has been activated since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started is that they have the character of counter discourse. However, the gaze of finding the original form of the female principle to resist the male-centered main stream culture from myths reveals the problem of viewing Jeju females as the others. Next, in everyday mythological studies, the Gaze of the subject was emphasized. Amid the deepening trend of economic in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due to the depreciation of the value of female labor dur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studies on Jeju female divers as the material of traditional life have increased. The studies have a critical view of Jeju female diver s mythicization, so they argue that the myth of femininity should be demythicized. Finally, the study of memory reconstruction paid attention to self-contemplation. Since 2000, Jeju female research has focused on the subject of memory. Remembering and testifying Jeju 4.3 Uprising, Jeju females stared at themselves beyond their femininity and gender image as ideology to confront masculinity. This self-contempl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women in Jeju” but be expanded to include cultural immigrants.

Download PDF list




 
[42411] 대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 219 인문사회관 윤리교육과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10-9778-3058 (남재민, 총무간사)      FAX 053-620-1300      ddpa2@ddpa98.org
Copyright ⓒ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