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229-0750

대동철학 (2019)
pp.35~61

DOI : 10.20539/deadong.2019.88.002

영화이미지의 현상학적인 존재론적 살 특성에 대한 연구 -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살-존재론을 토대로 -

김병환

(경성대학교 창의인재대학 교양학부 교수)

이 글은 세계 속 신체-주체와 지각 대상의 접속에 의한 지각 현상의 특성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영화 속 영화이미지의 현상학적 특성과 현상학적인 존재론적 살로서의 영화 이미지의 특성 및 영화이미지의 존재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밝힘으로 말미암아 현상학적인 존재론적 살로서의 영화이미지의 가치가 드러날 것이다. 현상학적 지각 현상은 차이장 속 차이의 지각 현상이 되고 차이 존재를 토대로 지각 현 상 자체를 나타내는 차이존재론적 지각 현상이 된다. 지각 현상은 운동적인 지각지평-차 이장 속 역동적인 차이들이 시공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총체적 시스템의 지각 현상이다. 시간적 게슈탈트로서의 영화란 단순히 이미지들을 모아놓은 집합이 아니라, < 운동적, 시간적 게슈탈트-바탕 영화이미지들 의 총체>이다. 영화이미지는 가상이면서도 현실이고 현실이면서도 가상이 되고 있으며, 차이장 속 가상과 현실을 맞물리게 하는 맞물림의 시뮬라크르 가 되고 있다. 영화이미지들의 관계적인 접속적 상황에서 영화적 현재는 영화적 과거와 영화적 미래 에 대한 시간적 살을 가진다. 영화이미지들은 서로에 대한 대립과 대립적 살을 가지고, 갈등, 권력, 사랑의 관계적인 영화이미지들은 각각 서로에 대하여 갈등과 갈등적 살, 권력과 권력적 살, 사랑과 사랑의 살을 가진다. 영화이미지들의 교차는 살적인 새로운 생성 의미 와 그 영화이미지들의 존재 의미를 드러내고, 관객은 영화이미지들의 살을 통해서 영화이 미지의 의미와 존재 의미 및 자신의 존재 의미를 느끼고 의식한다. 영화 속 영화이미지들은 항상 컨텍스트-영화이미지들로서 작동한다.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henomenological, Ontological Flesh of Film-Image - On the Base of Merleau-Ponty s Phenomenological Flesh-Ontology -

Kim, Byeong-Hwan

This thesis is aim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 of the perceptive phenomenon by the connection of the body-subject and the perceptive object, and to clarify the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 of film-image, the characteristic of film-image as the phenomenological, ontological flesh and the meaning of being of film-image. The value of film-image as the phenomenological, ontological flesh will appear by these clarifications. The phenomenological, perceptive phenomenon becomes the perceptive phenomenon of differences in the field of differences and the differenceontological, perceptive phenomenon that reveal the perceptive phenomenon itself based on the being of difference. The perceptive phenomenon is the perceptive phenomenon of the total system in which the dynamic differences happen spatiotemporally. The film as the temporal form(Gestalt) is not the simple set of images but the totality of the moving, temporal film-images of figure-ground. The filmimage becomes the virtual and the reality, the reality and the virtual, and it becomes 'the simulacre of interlocking to interlock the virtual and the reality in the field of differences. The filmic present has the temporal flesh for the filmic past and the filmic future in the situation of the relative, connective film-images. The filmimages have the flesh of opposition, the flesh of conflict, the flesh of power and the flesh of love each other in the opposition, the conflict, the power and the love. The chiasm of film-images reveals their fleshly new becoming -senses and the meanings of their beings, the cinema audiences feel and think the meanings of film-images, the meanings of beings of film-images and the meanings of their beings. The fimic images in film always operate as context-filmic images.

Download PDF list




 
[42411] 대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 219 인문사회관 윤리교육과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10-9778-3058 (남재민, 총무간사)      FAX 053-620-1300      ddpa2@ddpa98.org
Copyright ⓒ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