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229-0750
대동철학 (2016)
pp.117~147
고흐의 예술 세계에 대한 해체주의적, 살-존재론적 분석과 미래지향적 통섭미에 대한 연구
이 글은 강렬한 인상과 사유를 통해 대립적 색채-형상의 예술미를 표현하였던 고흐의 예술 세계에 내포되어 있는 해체주의적 특성과 살-존재론적 특성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창의적 예술 세계가 펼쳐질 수 있는 미래지향적 예술의 한 양상을 제시하는 미래지향적 예술미로서의 통섭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체란 파괴임과 동시에 구성이다. 고흐의 예술 세계가 내포하고 있는 해체주의적 특성은 인상적인 보색 대비의 양상에서 잘 드러난다. 회화에서 색채와 형상의 차연적인 흔적을 통해서 아름다운 것들은 드러난다. 색채와 형상을 통한 아름다움은 바로 아름다운 것들의 흔적에 의한 것이다. 그것들은 차이의 시간·공간적 네트워크로서의 흔적이다. 모든 시각적 흔적들은 차이 혹은 차연의 기호들이다. ‘자연의 사물이나 생명체’는 ‘예술적 색채’에 대한 색채의 살이 되고 동시에 ‘예술적 색채’는 ‘자연의 사물이나 생명체’에 대한 살이 된다. 이런 살은 교차와 얽힘으로서의 살이다. 색깔이 형상적 대상에 무한히 비결정성의 열기를 부여하기 때문에, 색깔은 색의 차이들과 더불어 깊이를 구성하는 것이다. 색깔은 우선 변화의 다른 차원, 즉 주변과 관계하는 차원에서 변화한다. 이런 가운데 살-존재론적인 예술적 살은 존재의 열개가 된다. 차이장으로서의 예술적 텍스트는 흔적의 차이와 잠재적인 가능적 차이 및 존재론적 살적 작용을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텍스트의 특성을 토대로 차이장 속에서 항상 현재적 차이와 가능적 차이를 머금고 살아 움직이는 통섭미를 추구하는 것은 미래지향적인 예술미와 새로운 미학의 세계를 위한 길이 될 것이다.
A study on the Deconstructivist, Flesh-Ontological Analysis for Van Gogh’s World of Art and the Pro-intentional Beauty of Consilience
This thesis aims to clarify the deconstructivist, flesh-ontological characteristics in Gogh’s world of art that he expressed through the artistic beauty of color contrast as well as to clarify the beauty of consilience as a pro-intentional artistic beauty in order to propose aspects of pro-intentional art for the world of new, creative art. The deconstruction is ‘a deconstruction and simultaneously a construction'. Gogh’s world of art exposes the contrastive aspects of impressive colors. The beauty of color and form becomes the trace of beauty. Beautiful things are the traces of the temporal, spatial network of differences. Visual traces are the signs of differences or ‘différances’. Things and organisms in nature become the flesh of color for artistic colors, and simultaneously artistic colors become the flesh for the things and organisms. The flesh is the chiasm between colors and objects. Color is the thing that constitutes spatial depth with its differences, in other words, with its variations, because color infinitely gives the opening of indetermination to the formal object. Color is the variable in the variation. The flesh-ontological, artistic flesh becomes the dehiscence of the being. The artistic text as the field of differences implies the differences of the traces, the potential, possible differences, and the flesh-ontological acts. I try to pursue the beauty of consilience, as a way for pro-intentional, artistic beauty and the new world of aesthe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