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229-0750

대동철학 (2015)
pp.343~361

An Interpretation of Transference as Ritual, and World Unity

MOUN Jeansou

(경북대학교 철학과 교수)

모든 철학적인 개념이 다 그러하듯, 전이 개념을 한 마디로 정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지금까지 필자가 확인한 바에 따르면, 전이 개념을 정의하고자 할 때, 우리가 알아야 하는 최소한의 4가지 연관 문제는 다음과 같다. 우선 첫째로, 전이는 치료에 장애물인가 아니면 치료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가? 둘째로, 전이는 정동적인 것인가 아니면 상징적인 것인가? 셋째로, 전이와 전이증상은 서로 다른가? 그리고 전이 증상의 형성 시기 및 요건은 무엇인가? 넷째로, 인간들의 다양한 증상들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 것인가? 즉 왜 다른 동물들과 달리 인간은 정신적인 증상들을 가지게 되었는가? 필자는 이러한 네 가지 문제를 차례로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전이에 대해 다음과 같은 입장을 정당화하고자 한다. 그것이 비합리적 전이 증상이든 합리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다양한 종교적 행위이든, 인간의 대부분의 정신적 양상 및 행동들은 상징계에 의해 왜곡된 현실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인간의 불가피한 ‘의식’(ritual)이다. 결국 필자는 변증법적 합리성 개념의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인정하면서, 전이적 증상을 일종의 종교적 의식과 같은 것으로 개인적 차원의 의식행위라는 것을 정당화하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가치는 개인의 행복과 만족이다. 아무리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이라도, 그것이 당사자에게 불안과 공포를 준다면, 그것은 권유될 만한 대안이 아니다. 이런 점에서 세속에 편재하는 다양한 의식적 행위들은 각자가 처한 상황에서 자신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최선의 방책이다. 우리는 더 나은 대안을 소개하려고 노력은 해야 하지만, 선택은 전적으로 각자에게 달려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 본고의 논제이다.

의식으로서의 전이 해석과 세계 통일

MOUN Jeansou

This article tries to critically analyze the known alternatives for the definition of transference symptom, and to interpret transference as a kind of ritual in order to survive, even though in being separate between animal and anger. According to Freud, the transference symptom is an affective, resistant, and repetitive action occurring after a short time in treatment, in which the truth of the repressed unconsciousness comes out in action that is acceptable to the actual society. However, according to Lacan, the transference symptom is a kind of representation made in a converging point between the real, imaginary, and symbolic, and not an affection as Freud thought. In this context, in order to form the transference symptom, "the subject supposed to know" is necessarily needed. My conclus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ransference symptom is a necessary schema for personal relations, and is not a kind of neurosis proper in a particular person, as Freud thought. It is therefore not reasonable to define the transference symptom on categorical scales such as pleasure/displeasure or rational/irrational. Second, all repetitive, ritual, behaviors are useful ways of coping with the transference symptom; thus, even if these behaviors are superstitious, religious, or rational, they may be healing. It is therefore not justifiable to distinguish superstition from religion, or perversion from normal. For we are all perverse animals, split between the instincts of animals and the moral of anger. This orientation is necessary to destroy the division between the barbarous and civil person, and to unify the world.

Download PDF list




 
[42411] 대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 219 인문사회관 윤리교육과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10-9778-3058 (남재민, 총무간사)      FAX 053-620-1300      ddpa2@ddpa98.org
Copyright ⓒ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