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229-0750
대동철학 (2015)
pp.97~125
사회비판의 은유적 개념으로서 자연
이 글의 주된 목적은 계몽의 변증법 저자들이 구성하고 있는 자연을 사회비판의 은유적 개념으로 해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먼저 자연파괴와 인간타락의 연결고리를 서술한 다음(1), 아도르노가 구상했던 자연사 이념과(2), 호르크하이머가 주목했던 자연의 폭동을 논의한 다음(3), 계몽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자연을 사회비판을 위한 은유적 개념으로 해석한다(4). 이 과정에서 이 글은 계몽에 의해 추진된 자연의 탈마법화의 폐해를 극복하기 위해 거꾸로 자연을 재-마법화 하는 것은 인간과 자연의 공존과 해방보다는 억압과 폭력을 강화하는 쪽으로 왜곡될 수 있는 위험성을 지적한다.
Nature as a Metaphorical Concept of Social Criticism
This paper aims to analyze 'nature' as a metaphorical concept of social criticism, which is revealed in Dialectic of Enlightenment. For this purpose, I discussed 1) a connection between the destruction of nature and the fall of human beings, 2) Adorno's ideas of the history of nature, 3) Horkheimer's concept of 'the revolt of nature, 4) and later tried to understand 'nature' in terms of a metaphorical concept to criticize a society. In this process,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at our re-magicalization of nature, which has been tried in order for us to overcome the abuses of the de-magicalizaton of nature as part of the enlightenment, has a possibility of aggravating oppression and violence rather than causing the coexistence and liberation of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