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229-0750

대동철학 (2021)
pp.1~21

DOI : 10.20539/deadong.2021.96.001

당대(唐代) 화론 속의 『장자』

강여울

(연세대학교 철학과 강사)

이 글에서는 당대(唐代) 회화론 속에 반영된 『장자』를 통해 이 시기 회화가 지향한 예술적 이상의 도가 미학적 측면을 분석해 본다. 『역대명화기(歷代名畵記)』, 『당조명화록(唐 朝名畵錄)』, 「필법기(筆法記)」 등 당대 화론에서는 『장자』 수양론의 핵심을 이루는 개념들이 다양한 회화 창작의 맥락에 적용되어 그 미학적 함의를 확장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화론에서 『장자』가 말하는 기술의 도(道)의 핵심은 회화 창작 과정에 차용된다. 포정(庖丁)이나 윤편(輪扁)의 일화가 상징하는 기술의 도가 회화의 도와 맞닿아 있는 것으로여겨지는 것이다. 이상적 회화의 도는 인위적 노력의 개입 없이 무위한 천지조화와 같이이루어지는 것이며, 그러한 회화의 도에 다다르기 위한 도야의 과정 또한 『장자』의 기술의도의 핵심과 맞닿아 있다. 또한 당대의 화론은 회화 창작에서 주체와 대상의 관계성뿐만 아니라 감상자의 심미적감응의 기제 또한 장자 의 사상을 통해 설명한다. 회화의 도가 발휘될 수 있는 마음의 상태는 「각의(刻意)」의 순일하고 고요한 마음 및 좌망(坐忘)에 빗대어 설명된다. 진인(眞人) 의 수양의 경지와 화가가 갖추어야 할 마음의 상태가 유비를 이루는 것이다. 더 나아가 당대의 문인들이 회화를 단순한 기예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정신 수양의 방법으로 여기기 시작한 경향 또한 화론에 반영된 장자 를 통해서 이해할 수 있다. 창작 주체의 삶의 태도, 정신적 경지 등이 예술 평가의 중요한 기준으로 대두되면서 도가 사상이지향하는 탈속적 가치관은 문인 예술창작의 핵심으로 자리 잡아 갔다. 기존의 화풍을 탈피해 보다 대담하고 자유로운 용묵을 구사했던 당대 화가들의 초탈적 정신성 또한 해의반박(解衣般礴)이나 심재(心齋) 등 『장자』의 사상을 통해 대변된다. 당대를 거치며 회화의 기술보다는 그것을 창작한 화가의 자질과 그 창작 과정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점차 두드러진다. 이 과정에서 회화예술의 다양한 맥락에 적용되어 변주되는 『장자』의 이야기들은 그림과 화가의 역할에 대한 인식 변화를 반영하고 설명하는 매개가 되었던 것이다.

The Zhuangzi in the Tang Dynasty’s Painting Theories

Kang, Yoe-Wool

This paper explores the Zhuangzi quoted in the painting theories of the Tang Dynasty including the Records of Famous Painters in History (歷代名畵 記), the Record of Celebrated Painters of the Tang Dynasty (唐朝名畵錄), the Notes on the Method of Brush (筆法記) and so on. The essential concepts from the Zhunagzi ’s cultivation theory were adopted in the various contexts of painting practice reflecting the artistic ideals of the painters of the time. The dao (道) of perfect skill in the Zhunngzi was applied to the nature of painting practice expanding its aesthetic implications. The episodes of Butcher Ding (庖丁) or Wheelwright Bian (輪扁) were compared to the skill of painting in the Tang Dynasty’s painting theories. The process of perfecting the technique as well as the state of wuwei (無爲) described in the Zhuangzi were adopted to elucidate the desirable conditions for painting. The Zhuangzi also provided an important theoretical ground to illumin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inter and the object as well as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viewer. The description of a painter’s ideal state of mind echoes the tranquil and coalesced mind described in “Keyi (刻意)” as well as the state of zuowang (坐忘). Furthermore, the Zhunagzi reflected in the painting theories of the time spoke for the changed status of painting as a method of cultivation. The unworldly and unfettered spirit of the Daoist view on life began to represent the attitude of the painters who broke away from the conventions laying a foundation for the literati painting.

Download PDF list




 
[42411] 대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 219 인문사회관 윤리교육과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10-9778-3058 (남재민, 총무간사)      FAX 053-620-1300      ddpa2@ddpa98.org
Copyright ⓒ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