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229-0750

대동철학 (2023)
pp.331~358

DOI : 10.20539/deadong.2023.104.013

동학의 연대적 공동체 의식과 근대의 길

진보성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전임대우강의교수)

김종곤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

이 글의 목적은 19세기 시대 배경에서 동학공동체의 특징을 살펴서 기존의 유교공동체 를 극복하고 새로운 공동체를 지향했던 동학공동체의 연대의식이 어떤 것인지를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역사에서 시대의 전환을 도모했던 공동체 의식과 자생적인 근대성을 재조명하는 것이다. 유교공동체는 향약과 같은 규약을 통해 조선 사회의 질서를 유지했으 나 조선 후기로 접어들면서 공동체의 기능을 상실했다. 동학공동체는 대내외적 위기에 직 면하여 공적 가치가 붕괴된 사회의 대안으로서 신앙공동체로 출발했다. 최제우는 인간은 누구나 평등하고 자율적이라는 공적 가치를 확보하여 아래에서 위로의 공공의식을 공유하 며 내부의 연대의식을 강화했다. 그리고 2대 교주 최시형 시기에 동학은 사회적 성격이 강 화되어 사회의 모순을 극복하고 개혁을 지향하는 공동체로 확장 발전한다. 동학공동체의 발전은 한 시대의 사회적 변혁이 이행되는 과정이었다. 이후 연이어 일어난 교조신원운동 은 동학 교단이 정비되면서 동학공동체의 연대의식이 사회정치적인 변혁을 추구하는 혁명 적 의식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사례이다. 동학공동체는 서양식이며 국가주의적인 모습의 개화파 근대화와는 달리, 민중의 자발성을 중심으로 다른 맥락에서 새로운 공동체의 가치 와 공공의식의 진화를 추구했다.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민중이 주체가 되는 새로운 공동 체 의식을 발견한 것이다.

Donghak’s the Sense of Solidarity Community Consciousness and Modern Paths

Jin, Bo-Sung

Kim Jong-G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nghak community in the 19th century context, and to reveal what kind of solidarity consciousness the Donghak community had, which overcame the existing Confucian community and aimed for a new community, and based on this, to reexamine the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he indigenous modernity that attempted to bring about the transition of the era in our history. The Confucian community maintained the order of Joseon society through regulations such as hyangyak, but lost its function as a community as it approached the late Joseon period. The Donghak community started as a faith community as an alternative to a society where public values collapsed in the face of internal and external crises. Choi Jaewoo strengthened the internal sense of solidarity by sharing the public consciousness from bottom to top by securing the public value that all humans are equal and autonomous. and during the period of Choi Sihyong, the second leader of Donghak, Donghak strengthened its social character and expanded and developed into a community that aimed for overcoming social contradictions and reforms. The development of the Donghak community was a process of social transformation in one era. Since then, the successive the movement vindicating the innocence of the founder of Donghak has been an example of how the Donghak community's sense of solidarity can be transformed into a revolutionary consciousness pursuing socio-political transformation as the Donghak religious order is reorganized. Unlike the modernization of Korean Reformists in the late 19th Century, which is Western or nationalistic, the Donghak community pursued the evolution of new community values and public consciousness in a different context, focusing on the spontaneity of the people. It found a new sense of community in which the people, who had never been seen before, became the main body.

Download PDF list




 
[42411] 대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 219 인문사회관 윤리교육과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10-9778-3058 (남재민, 총무간사)      FAX 053-620-1300      ddpa2@ddpa98.org
Copyright ⓒ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All Right reserved.